한국고전음악에 세 쓰이는 악기인 거문고는 흔히 선비의 악기로 불리듯이 선비들의 글방에 있곤 했다. 악기는 여성의 전유물로 여기기 쉬우나 거문고는 그 소리마저 둔탁하며 힘 있고 거친 듯 오묘한 음색을 지니고 있다. 아래에서는 예로부터 선비들의 사랑을 받아 온 악기 거문고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거문고의 유래
한국고전음악에 쓰인 거문고는 <산국사기>에 이렇게 기록되어 있다.
"처음 진나라 사람이 칠현금을 고구려에 보내왔다. 고구려 사람들은 그 악기 됨은 아나 그 성음과 타는 법을 알지 못하였다. 그래서 나라 사람으로서 능히 그 소리를 알고 이것을 탈 줄 아는 사람이 있으면 후하게 상을 주겠다고 하였다. 이때 제2상 왕산악이 그 본 모양을 그대로 두고 그 제도를 많이 고치어 만들고 아울러 100여 곡을 지어 이를 연주할 때 검은 학이 날아들어 춤추었다." 그러나 <삼국사기>에 나오는 왕산악이 만들었다는 100곡은 현재 남아있지 않다.
거문고의 생김새와 소리 내기
최초의 거문고 모양은 자세히 알 수는 없지만 통구 지방 무용총, 17호 고분 벽화의 그림에서 보이는 줄 4개에 괘가 17개인 악기가 원형일 것이라고 추측하고 있다. 지금 사용하는 거문고의 모양은 6개의 줄과 16개의 쾌로 이루어져 있는데 가야금과 달리 손가락으로 현을 눌러 연주하는 것이 아니라, 대나무로 만든 술대로 현을 눌러 소리를 낸다.
거문고의 연주
거문고는 본래 정악에만 쓰였지만 조선후기부터는 시나위, 산조 등의 민속악에도 사용되었다. 빠르고 경쾌한 산조를 연주할 때는 정악을 연주할 때보다 조금 작은 거문고를 별도로 제작해 쓰기도 한다. 거문고산조는 조선시대 말 백낙준이 아버지가 부르던 판소리 가락을 모방한 구음을 거문고에 옮겨 연주하면서 시작되었다. '구음'이란 악기소리를 입으로 본떠내는 소리를 말한다. 즉 입을 빌린 악기 소리고, 옛 분들은 악기를 가르칠 때 실제 연주보다 구음을 많이 사용했다고 한다. 거문고 구음은 그릭덩, 슬기둥, 살갱갱 등으로 표현하고 가야금 구음은 슬기당, 슬기동, 슬기징 등을 많이 사용했다고 한다. 꽹과리는 개갱 갠 지겐 장구는 더덩 덩 기덕, 북은 두둥 둥 둥 등으로 한다.
유네스코 인류 무형문화재 등재 거문고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재에 거문고가 등재된 사실은 2008년 11월 25일에 발표되었다. 이 날, 거문고와 함께 한국의 다른 전통적인 음악 현악기인 해금과 풍금도 함께 등재되었다. 이로써 거문고와 해금, 풍금은 한국 전통 음악의 중요한 악기로서 국제적으로 인정받게 되었다.
유네스코는 인류무형문화재는 등재함으로써 해당 문화재의 가치를 보호하고 전 세계적으로 인정하는데 목적이 있는데, 거문고의 등재로 인해 한국 전통 음악의 중요성과 가치가 다른 나라들에게도 알려지고, 보존과 전승을 위한 노력이 강화되는 계기가 되었다.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재 등재로 인해 우리 고유악기인 거문고, 해금, 풍금은 유네스코의 지원과 보호를 받으며, 국내에서도 그 보존과 전승에 더욱 많은 관심과 노력이 기울어지고 있다. 또한, 인류무형문화재 등재로 인해 해외에서도 거문고와 한국의 전통 음악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다양한 문화 교류와 협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한국 문화의 세계적인 가치를 인정받게 되는 중요한 기념비적인 사건으로 평가되고 있다.
현대의 거문고
이와는 별개로 한국고전음악의 악기인 거문고는 전통적인 가야금, 대금, 해금, 피리, 장구 등 악기와 같이 협주되는 관현악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전통악기들과의 콜라보 외에도 재즈, 락, 퓨전 등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결합하여 새로운 퓨전음악으로 만들어 내고, 국악 팝이라는 팝과 융합해 만든 장르에 거문고 연주로 그 소리를 더 풍성하게 만드는 역할 등을 하고 있다. 이처럼 거문고는 전통 음악뿐만이 아니라 다양한 음악 장르와의 융합을 통한 새로운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를 통해 거문고는 전통적인 음악의 경계를 넘어 다양한 청중들에게 새로운 음악적 즐거움을 제공하고 있다.
'한국고전음악'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고전음악의 악기 대금과 소금 (0) | 2023.08.01 |
---|---|
한국고전음악의 악기 해금과 아쟁 우리상식은 정확할까? (0) | 2023.07.31 |
한국고전음악의 악기 가야금 (0) | 2023.07.28 |
한국고전음악 민요 (0) | 2023.07.26 |
한국의 고전음악 제례악 (0) | 2023.07.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