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국고전음악

한국고전음악 서도민요

by 짱똘이다 2023. 11. 22.
반응형

격정적이고 아련한 서도민요

서도민요는 황해도와 평안남북도의 민요이다. 남도 민요에 비해 청이 높고 중간음에서 격렬하게 떨면서 숨 가쁘게 몰아 치다가 하강하는 창법이 탄식하는 듯한 느낌을 준다. 서도민요는 다른 지방 민요에 비해 기악 반주가 흔치 않다. 미묘한 꾸밈음이나 서도민요 특유의 조름목 등을 악기로 나타내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격정적이고 애련한 서도민요는 구성지고 유장한 남도민요와 차이가 너무도 뚜렷해 예로부터 경기 서도 명창은 많았은, 서도민요와 남도민요를 다 함께 잘하는 명창은 거의 없었다고 한다.

아련한 서도민요

 

서도민요의 대표작

<수심가>

평안도 민요로 서도민요의 대표 격이다. 남도민요의 대부분이 육자배기 풍이듯 서도민요는 대부분 수심가조이다. 초한가 공명가, 사설공명가, 제전 등의 서도잡가도 마지막 구절은 반드시 시심가조로 끝낸다. 청이 높고 섬세하게 자주 떨어 구슬프기 그지없다. 떠는소리는 너무나도 독특해 그 지방 사람이 아니고는 하기도 어렵고 거북하다. 또 콧소리를 많이 쓰는 것이 특징이다. 수심가에는 으레 엮음 수심가가 짝을 이루고 장단은 일정하지 않다.

 

인생 일장춘몽이요

세상 공명 꿈 밖이로구나

생각을 하니 세월이 가는 것이 등달아

나 어이 할거나

 

무정세월이 덧없이 가니

원수 백발이 날 침노하누나

청춘홍안을 애연타 말고

마음대로만 노잔다....

 

<엮음 수심가>

느리고 구슬픈 수심가 뒤에 이어지는 소리다. 많은 사설을 촉급게 엮어 나가다가 끝부분은 수심가조로 길게 늘어 뜨리며 맺는다.

 

바람 광풍아 부지를 마라 송풍 낙엽이 다 떨어진다.

명사십리 해당화야 꽃이 진다 설워말며

잎이 진다 설워 말라 동삼 석 달을 다 죽었다

명년 삼월 다시 오면 전각에 생미량하고

훈풍이 자남래할 제 유상앵비는 편편금하고

화간접무는 분분설할 제 온갖 화초라 하는 것은

다 살아오는데 인생 한번 죽어지면

다시 올 길 만무로구나..... 

 

<긴아리>

평안도 용강, 강서 지방 민요이다. 장단 없이 청승스럽게 부르는 소리가 푸념처럼 들리기도 한다. 김맬 때 부르던 소리라고도 하고 갯가에서 조개를 잡으러 다니면서 부르던 소리라고도 한다.

 

조개 잡아 젓 절이고

가는 임 잡아 정 드리자

 

바람새 좋다고 돛 달지 마라

몽금이 개암포 들러만 가소....

 

<자진아리>

타령, 혹은 감내 기라고도 한다. '감내기'란 밭을 돌본다는 말의 사투리다. 농부들이 밭일을 하면서 부르던 일노래다. 가사도 꾸밈없고 소박해 향토색이 진하게 풍긴다.

 

(후렴)

아이고아이고, 성화로구나

가마채 붙들고 힐난질 말고

나 시집간 데로 멈 살러 오려마

 

나 시집간 데로 멈 살러 오면

신던 버선에 볼밭아 줌세...

 

<산염불>

황해도의 대표적인 민요이다. 불가의 소리가 세속화한 것이라고 하나 불교적 분위기는 느껴지지 않는다. 중모리장단에 맞추어 부르는 소리가 유창하고 듣기 좋아 황해 지방에서는 많은 사랑을 받아왔다.  산염불 뒤에는 굿거리장단의 흥겨운 자진염불이 붙는다.    

 

(후렴)

아하에 에헤헤 에헤이

어허미 타아하 어히야 불이로다

어젯밤에 꿈 좋더니 임에게서 편지 왔네

그 편지를 받아다가 가슴 위에다 얹었더니

인칠지 한 장이 무겁겠소마는

가슴 답답해 못 살겠네....

 

서도민요에는 이 밖에도 평안도의 안주애원곡, 황해도의 긴난봉가, 자진난봉가, 사설난봉가, 몽금포타령 등이 있다. 

반응형